본문 바로가기

D.evelop [CS]55

[이산수학] 조합이론 - 계수, 순열 1. 기본 계수 법칙1) 곱셉법칙두 사건 A, B가 일어날 경우의 수가N(A) = m , N(B) = n 일 때,사건 A, B가 동시에 일어날 경우의 수는 m x n이다.N(A × B) = N(A) × N(B) = m × n  ✏️ 예) 5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2진수는? = 2⁶ = 64개   2) 합의 법칙두 사건 A, B가 일어날 경우의 수가N(A) = m , N(B) = n 일 때, A ⋂ B = ∅일 때,각각 사건 A, B가 일어날 경우의 수 m + n즉,  N ()A ⋂ B = ∅N (A ∪ B) = N(A) + N (B) = m + n  사건 X, Y, Z가 발생할 방법의 집합을 각각 A, B, C라고 하면(1) X 또는 Y가 발생할 경우의 수= A ∪ B = | A | + | B | − |.. 2025. 3. 29.
[Linux] windows WSL2 명령어 실행 안됨 - 디스크 공간 부족 ✅ 문제 발생별안간 git이 작동 안하는 문제 발생🫠conflict 문제가 아닌 git 명령어 자체가 작동을 안했습니다.그리고 던져준 에러 메세지.remote: Total 10 (delta 9), reused 10 (delta 9), pack-reused 0 (from 0) error: file write error: No space left on devicefatal: unable to write loose object filefatal: unpack-objects failed "No space left on device" 장치에 남은 공간이 없다.➡️ 디스크공간 부족 문제  ✅ 해결 과정1. 디스크 용량 확인df -h출력 결과에서 /dev/sdc (sdc부분은 다른 이름일 수 있음)의 .. 2025. 3. 8.
서버 보안 개념, 종류, 대책 1. 서버 보안의 개념1-1. 일반적인 정보 시스템클라이언트 : 일반적인 사용자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통신 채널”(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1-2.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조응용 프로그램 계층서버 프로그램은 개발단계에서 제거하지 못하거나 발견하지 못한 백도어, 버그 같은 취약성을 가짐. 이 취약성을 사용하여 운영체제의 접근 권한을 뚫는다.운영체제 계층”운영체제의 제어권”확보는 대부분의 공격 목적이 된다.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제어. (입/ 출력, 파일 등) 실제 시스템 접근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계층으로 보안의 가장 근본적인 레벨이다.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in/out 트래픽을 제어하여 잠재적으로 유해한 트래픽을 줄일 수 있음. 운영체제 내에서 수.. 2024. 6. 12.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4. 비교 기반 알고리즘 (셸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3) 셸 정렬 (Shell sort)삽입 정렬의 단점인 “올바른 삽입 위치에서 멀어도 한자리씩 비교하며 이동” 해야하는 과정을 보완멀리 떨어진 데이터와 비교, 교환하여 한번에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늘림 → 처리 속도 향상삽입 정렬처리해야할 데이터에서 가까운 값과 비교 → 점점 멀리셸 정렬처리해야할 데이터에서 멀리 떨어진 값과 비교 → 점점 가까이입력 배열을 부분배열로 나누어 삽입 정렬을 수행하는 과정을 부분배열의 크기와 개수를.. 2024. 5. 13.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3. 비교 기반 알고리즘 (삽입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3) 삽입 정렬 (Insertion sort)주어진 데이터를 하나씩 뽑은 후, 이미 나열된 데이터들이 항상 정렬된 상태를 갖도록 바른 위치를 찾아 뽑은 데이터를 삽입해서 나열하는 방식 정렬 부분 A[0…k-1] 과 미정렬 부분 A[k…n-1] 으로 구분해서 처리정렬 과정미정렬 부분 A[k…n-1]에서 1번째 데이터를 뽑아정렬 부분 A[0…k-1]에서 올바른 자리에 삽입입력 데이터 A [10, 30, 40, 20, 70, 50, .. 2024. 4. 24.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2 비교 기반 알고리즘 (버블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2) 버블 정렬 (Bubble sort)모든 인접한 두 데이터를 차례로 비교 후,왼쪽 데이터가 더 큰 경우 오른쪽 데이터와 자리를 바꾸는 방식을 반복정렬 과정 : 비교 진행 방향 →, ← 에 따라 비교비교 진행 방향에 따라 정렬 과정이 달라짐 • 왼 → 오 : 큰 값 부터 찾아 오른쪽 끝 부터 위치 (오른쪽 끝부터 정렬)…. • 왼 ← 오: 가장 작은 값부터 찾아 왼쪽 끝부터 위치 (왼쪽 끝부터 정렬) 가장 작은 왼쪽 → 오른쪽.. 2024. 4. 22.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1. 비교 기반 알고리즘 (선택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1) 선택 정렬 (Selection sort)입력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부터 순서대로 선택해서 나열하는 방식정렬 과정📍배열 A = [60, 90, 30, 10] (0단계) 1. 미정렬 부분에서 최솟값을 찾음 = 10 A = [60, 90, 30, 10] 2. 이 최솟값과 미정렬 부분의 첫 번째 데이터[60] 비교 10 과 60 비교 : 10 은 60보다 작다. (조건 만족) A = [60, 90, 30, 10] 3. 조건.. 2024. 4. 18.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1. 기본 개념 정렬 Sort1. 기본 개념 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 1. 기본 개념1) “정렬(Sort)”이란?주어진 데이터를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재배치 하는 것대표 : 오름차순(Ascending), 내림차순(Descending) 2) 정렬 구분기준 : 정렬이 수행되는 시점에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가?✅ 내부 정렬컴퓨터 내에 있는 주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있음 전체 데이터 위치 : 주기억장치에 저장 → 정렬 수행외부 정렬주기억 장치 밖에 데이터가 있음(주기억장치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없는 경우) 전체 데이터 위치 : 보조 기억장치 → 필요한 일부 데이터만 반복적으로 주기억장치로 옮겨 → 정렬 수행  3) 내부 정렬의 정렬 .. 2024.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