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elop [CS]53

서버 보안 개념, 종류, 대책 1. 서버 보안의 개념1-1. 일반적인 정보 시스템클라이언트 : 일반적인 사용자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통신 채널”(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1-2.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조응용 프로그램 계층서버 프로그램은 개발단계에서 제거하지 못하거나 발견하지 못한 백도어, 버그 같은 취약성을 가짐. 이 취약성을 사용하여 운영체제의 접근 권한을 뚫는다.운영체제 계층”운영체제의 제어권”확보는 대부분의 공격 목적이 된다.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제어. (입/ 출력, 파일 등) 실제 시스템 접근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계층으로 보안의 가장 근본적인 레벨이다.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in/out 트래픽을 제어하여 잠재적으로 유해한 트래픽을 줄일 수 있음. 운영체제 내에서 수.. 2024. 6. 12.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4. 비교 기반 알고리즘 (셸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3) 셸 정렬 (Shell sort)삽입 정렬의 단점인 “올바른 삽입 위치에서 멀어도 한자리씩 비교하며 이동” 해야하는 과정을 보완멀리 떨어진 데이터와 비교, 교환하여 한번에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늘림 → 처리 속도 향상삽입 정렬처리해야할 데이터에서 가까운 값과 비교 → 점점 멀리셸 정렬처리해야할 데이터에서 멀리 떨어진 값과 비교 → 점점 가까이입력 배열을 부분배열로 나누어 삽입 정렬을 수행하는 과정을 부분배열의 크기와 개수를.. 2024. 5. 13.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3. 비교 기반 알고리즘 (삽입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3) 삽입 정렬 (Insertion sort)주어진 데이터를 하나씩 뽑은 후, 이미 나열된 데이터들이 항상 정렬된 상태를 갖도록 바른 위치를 찾아 뽑은 데이터를 삽입해서 나열하는 방식 정렬 부분 A[0…k-1] 과 미정렬 부분 A[k…n-1] 으로 구분해서 처리정렬 과정미정렬 부분 A[k…n-1]에서 1번째 데이터를 뽑아정렬 부분 A[0…k-1]에서 올바른 자리에 삽입입력 데이터 A [10, 30, 40, 20, 70, 50, .. 2024. 4. 24.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2 비교 기반 알고리즘 (버블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2) 버블 정렬 (Bubble sort)모든 인접한 두 데이터를 차례로 비교 후,왼쪽 데이터가 더 큰 경우 오른쪽 데이터와 자리를 바꾸는 방식을 반복정렬 과정 : 비교 진행 방향 →, ← 에 따라 비교비교 진행 방향에 따라 정렬 과정이 달라짐 • 왼 → 오 : 큰 값 부터 찾아 오른쪽 끝 부터 위치 (오른쪽 끝부터 정렬)…. • 왼 ← 오: 가장 작은 값부터 찾아 왼쪽 끝부터 위치 (왼쪽 끝부터 정렬) 가장 작은 왼쪽 → 오른쪽.. 2024. 4. 22.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2-1. 비교 기반 알고리즘 (선택 정렬) 정렬 Sort1. 기본 개념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예시에 대한 가정- 입력 크기 n- 입력 배열 A[0…. n-1]- 입력 데이터 : 양의 정수- 정렬 방식 : 오름차순 (1, 2, 3, 4,…) 2-1) 선택 정렬 (Selection sort)입력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부터 순서대로 선택해서 나열하는 방식정렬 과정📍배열 A = [60, 90, 30, 10] (0단계) 1. 미정렬 부분에서 최솟값을 찾음 = 10 A = [60, 90, 30, 10] 2. 이 최솟값과 미정렬 부분의 첫 번째 데이터[60] 비교 10 과 60 비교 : 10 은 60보다 작다. (조건 만족) A = [60, 90, 30, 10] 3. 조건.. 2024. 4. 18.
[알고리즘 이론] 정렬 Sort - 1. 기본 개념 정렬 Sort1. 기본 개념 2. 비교 기반 알고리즘    1) 선택 정렬    2) 버블 정렬   3) 삽입 정렬   4) 셸 정렬 1. 기본 개념1) “정렬(Sort)”이란?주어진 데이터를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재배치 하는 것대표 : 오름차순(Ascending), 내림차순(Descending) 2) 정렬 구분기준 : 정렬이 수행되는 시점에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가?✅ 내부 정렬컴퓨터 내에 있는 주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있음 전체 데이터 위치 : 주기억장치에 저장 → 정렬 수행외부 정렬주기억 장치 밖에 데이터가 있음(주기억장치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없는 경우) 전체 데이터 위치 : 보조 기억장치 → 필요한 일부 데이터만 반복적으로 주기억장치로 옮겨 → 정렬 수행  3) 내부 정렬의 정렬 .. 2024. 4. 18.
[Linux] 파일과 폴더 권한 수정, root 파일 비밀번호 설정 1. PC 재 세팅 후 프로젝트 파일을 다시 내려 받았는데, 파일 수정 후 저장이 되지 않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2. 이 경우 파일 또는 폴더 생성도 되지 않는 경험이 있어 mkdir 명령어로 파일 생성을 시도해보았는데, 생성 되지 않았습니다. 3. (캡쳐를 못했는데) vscode 하단에 권한 문제라는 경고창이 떴습니다. 4.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소유자 권한을 체크했습니다. ls -l 또는 ll // 수정할 파일과 그 파일이 속한 디렉토리 등의 권한을 확인 whoami // 현재 로그인 중인 계정 저는 dan 이라는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있었는데, 부모 디렉토리인 work의 소유자 권한은 dan이었으나, 자식 디렉토리인 test의 소유자 권한이 root로 되어있어 test 폴더 내에서는 파일을 생성하거.. 2023. 9. 26.
[이산수학] 1. 이산수학 / 2. 논리 1. 이산수학 1. 연속적인 것 이산적인 것 2. 도구, 기법, 방법론 도구 : 정의, 정리 기법 : 가우스 소거법, 근의 공식 방법 : 언제 무슨 기법을 무슨 도구로 어디다 쓸 것인지? 문제 해결 수학적 모델링 : 문제 > 추상 모델 >변형된 모델 > 문제 해결책 정보 모델링 : 문제 > 정보 > 처리 > 문제의 해결책 3. 추상화(abstraction) 수학적 개념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의 핵심 냄용만 남기고, 관련 없는 것들을 제거 -> 문제를 단순화 예 : 사과의 형태 = 동그란 형태에 꼭지가 있는 것. 그게 프랑스산 사과인지 대구산 사과인지, 초록색인지 빨간색인지는 중요한 부분이 아니다. 4. 알고리즘 (algorithm) computer programming language : 컴퓨터 .. 2023.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