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2020 3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2020 정보처리기사 제 3회 필기 A형 4과목 071~075

by Danne 2020. 9. 26.

2020 1, 2회 통합필기에도 출제된 문제 : ★

 

71. OSI-7 Layer에서 링크의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 노드간의 오류제어와 흐름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물리 계층
  3) 세션 계층
  4) 응용 계층

ISO 7 계층

하위 계층 : 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상위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

송, 수신 측의 속도차이 해결을 위한 흐름제어

프레임의 동기화 기능

 오류제어 기능

 순서제어 기능

 

 

[참고 자료]

길벗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p.672 ~ p.674

 

 

72. 다음 중 가장 결합도가 강한 것은?
  1) data coupling
  2) stamp coupling
  3) common coupling
  4) control coupling

결합도 : 모듈 간 상호 의존하는 정도 또는 두 모듈 사이의 연관 관계를 의미

자료 결합도 스템프 결합도 제어 결합도 외부 결합도 공통 결합도 내용 결합도
결합도 약함<<<<< >>>>>결합도 강함

 

[참고 자료]

길벗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p.110

 

 

73. 메모리 관리 기법 중 Worst fit 방법을 사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는 어느 부분에 할당 되는가?
  1) NO.2
  2) NO.3
  3) NO.4
  4) NO.5


영역 번호 메모리 크기 사용여부
NO.01 8K FREE
NO.02 12K FREE
NO.03 10K IN USE
NO.04 20K IN USE
NO.05 16K FREE

최조 적합(First-fit) : 메모리를 순차적으로 참색하여 제일 먼저 발견한 곳에 적절하게 들어갈 수 있는 곳을 찾아 프로세스 적제 / NO.1

최적 적합(Best-fit) : 메모리를 탐색하여 메모리 공간 중에서 제일 적절하게 들어갈 수 있는 곳을 찾아 프로세스를 적재 / NO.2

최악 적합(Worth-fit) :넣을 메모리의 크리와 제일 안 맞는 공간에 프로세스 적재 / NO.4

 

 

[참고 자료]

https://copycode.tistory.com/97

http://truemind5.blogspot.com/2017/05/14-1.html

 

 

74. 200.1.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을 이용하여 10개의 subnet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를 적용했다. 이때 서브네팅된 네트워크 중 10번째 네트워크의 broadecast IP주소는?
  1) 200.1.1.159
  2) 201.1.5.175
  3) 202.1.11.254
  4) 203.1.255.245

자료로 대체....

 

 

[참고 자료]

https://ninerabbit.tistory.com/33

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docId=278376953&qb=64Sk7Yq47JuM7YGs66W8IEZMU00g67Cp7Iud&enc=utf8&sect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UcpO%2BwpySDwssu1TqRlssssssUN-316120&sid=p4dtxxvuQn%2BYCsuIR3/vOw%3D%3D

 

 

75. 다음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에서 처음과 끝의 3글자를 추출한 후 합쳐서 출력하는 파이썬 코드에서 ㄱ 에 들어갈 내용은?
  1) string[1:3] + string[-3:]
  2) string[:3] + string[-3:-1]
  3) string[0:3] + string[-3:]
  4) string[0:] + string[-1:]

string = input ( "7문자 이상 문자열을 입력하시오:")
m = (    ㄱ    )
print(m)
입력 값 : Hello World
최종 출력 : Helrld

srting[시작 위치:끝 위치] 

string[음수 : ] = 문자열의 뒤쪽부터 역순으로 센 글자

 

[참고 자료]

https://wikidocs.net/2838

 

 

 

 

 

 

※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공유부탁드립니다!

 

 

2020 정보처리기사 

제 3회 필기 A형  

문제풀이 071~075

반응형

댓글